20180710 (화) 김창준님 특강_전문성발견
신뢰가 없으면 갈등이 발생하고, 모든 행동을 호의로 받지 못하고 악의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 마이크로 인터렉션으로 신뢰 관계를 쌓아가야 함 의사결정을 어떻게 할 지 의사결정을 해 두면 편리함 --> 방법을 명시하는 것
loomio collaborative decision-making
찬성, 반대, 보류, 차단의 네 가지 선택을 하여 모든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게 하는 시스템 --> 참고: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HM66pu9sAGo
갈등이 발생하는 이유는 소통이 아니라 상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'무슨 실험을 하면 의사결정이 수월해질까?' 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갈등이 많이 사라짐
CQ; Collaborative Intelligence Quotient 집단지능
각 개인의 지능지수(IQ; Intelligence Quotient)가 아닌 공감지수(EQ; Emotional Quotient)가 CQ를 예측하는데 더 큰 효과를 보임
전문성에 대한 질문
전문성은 분야를 뛰어넘을 수 있는가? 성실성이 영향을 미치긴 하지만, 전문성은 Domain specific
전문성은 연륜에 비례하는가?
변화가 많은 분야에서 전문성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? like IT Routine Expert: 훈련된 상황에 대해 전문성을 띔. 같은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습득되는 skill Adaptive Expert: 새로운 상황에도 적응하는 전문성 --> 이런 인재를 기업에선 요구하지
전문성의 평가 반복해서 높은 수준의 퍼포먼스를 보이는 것이 전문성의 지닌 것 일의 분야에 따라서 경력과 실력이 비례할 수 있음 퍼포먼스에 대한 피드백 유무가 전문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
Generalist & Specialist
실력 차이가 심하게 날 때 서로 같은 작업을 하고, 비교한 후 결정하기! What if 질문하거나 짝 프로그래밍 진행하기
실력 키우는 법
짧게 설명할 수 있는가? -> 하브루타, 아는 언어로 풀어쓰면서 설명하고 찾아보기 프로젝트 하기 -> 이 데이터를 누가 쓸건지 기준 정해서 원하는 데이터 주기로 평가하기(사용자의 맥락을 꼭 알아야. context를 더 잘게 쪼개야)
요즘 하는 공부에 대해 전문성이 함양되고 있는지 스스로 평가하려면?
재생산이 학습효과가 뛰어남 배운 개념을 응용해 볼 것. 가상의 대상을 설정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해 볼 것. 특정 사용자라는 맥락 안에서 데이터에서 어떤 특징을 뽑아야 하는지 알 수 있음 e.g.,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 분석은 어떤 관점으로 해야할까?
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할 때는,
맥락을 설정하고 문의할 것. 내가 설정하고 밟아 나가는 맥락과 전문가의 맥락을 비교해 봄으로써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음 --> 능동적 학습! 분야를 막론하고 전문가를 활용하라